KOPIS 데이터를 활용한 전국 공연 시설 군집 분석
1. 서론
본 보고서는 KOPIS(공연예술통합전산망)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국 공연 시설을 군집화하고, 각 군집의 특징을 분석하여 맞춤형 발전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군집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각 군집별 페르소나를 정의하고, 이를 통해 공연 시설 운영 및 정책 수립에 활용 가능한 실질적인 제언을 도출하고자 합니다.
2. 데이터 및 분석 방법
- 데이터 출처: KOPIS (공연예술통합전산망)
- 데이터 기간: 20240101 ~ 20241231
- 분석 대상: 전국 공연 시설
- 분석 방법:
- 군집 분석 (Clustering) ⁽¹⁾ : K-Prototypes 알고리즘 ⁽²⁾
- 변수: 총 좌석 용량, 공연장 수, 장르 다양성 점수, 평균 공연 기간, 접근성 점수, 편의 시설 수, 오픈런 공연 수, 총 상연 횟수, 총 공연 건수, 총 티켓 판매 수, 티켓 판매 수/총 좌석, 티켓 판매 수/공연장 수, 공연 건수/공연장 수, 상연 횟수/공연장 수, 장르별 공연 횟수 (대중무용, 대중음악, 무용, 뮤지컬, 복합, 서양음악(클래식), 서커스/마술, 연극, 한국음악(국악)), 지역(시도), 시설 특성 등
3. 군집 분석 결과
3.1. 전체 공연 시설 현황
항목 | 평균값 |
총 좌석 용량 (석) | 1156.5 |
공연장 수 (개) | 1.45 |
장르 다양성 점수 (점) | 2.20 |
평균 공연 기간 (일) | 8.67 |
접근성 점수 (점) | 0.99 |
편의 시설 수 (개) | 0.97 |
오픈런 공연 수 (회) | 0.14 |
총 상연 횟수 (회) | 76.1 |
총 공연 건수 (건) | 15.1 |
총 티켓 판매 수 | 13866.6 |
좌석 당 티켓 판매 수 | 20.7 |
공연장 당 티켓 판매 수 | 7264.7 |
공연장 당 공연 건수 | 9.7 |
공연장 당 상연 횟수 | 55.7 |
주요 상연 장르 (회) | 대중음악(2.48), 서양음악(5.03), 연극(1.8) |
3.2. 군집별 특징
군집 | 크기 (시설 수) | 비율 (%) | 주요 특징 |
0 | 1171 | 72.6 | 소규모 시설, 특정 장르(연극 등) 공연 중심, 낮은 접근성 및 편의 시설, 지역 기반 |
1 | 27 | 1.67 | 대규모 시설, 다양한 장르 공연, 높은 접근성 및 편의 시설, 국제적 수준, 대형 공연 유치 |
2 | 312 | 19.3 | 중간 규모 시설, 다양한 장르 공연, 비교적 높은 접근성 및 편의 시설, 지역 문화 거점 |
3 | 103 | 6.39 | 서울(특히 대학로) 집중, 장기 공연 및 오픈런 공연(뮤지컬, 연극 등) 중심, 민간 시설 |
3.3 군집별 세부 현황
3.3.1 Cluster 0
- 크기: 1171개 시설 (가장 큰 군집, 전체의 72.6%)
- 주요 특징:
- 평균 총 좌석 용량(991.4석)은 전체 평균보다 적습니다.
- 평균 공연장 수(1.2개) 역시 전체 평균보다 적습니다.
- 장르 다양성 점수(1.39점)가 낮아, 특정 장르에 집중된 공연이 많을 수 있습니다.
- 접근성 점수(0.54점)와 편의 시설 수(0.74개)가 전체 평균보다 낮습니다.
- 공연장 당 상연 횟수(22.4회), 공연장 당 공연 건수(5.1회), 공연장 당 티켓 판매 수(2165.6회)가 다른 군집에 비해 현저히 적습니다.
- 주요 지역: 서울(42.7%), 경기(11.7%)
- 주요 시설 특성: 민간(대학로 외)(52.3%), 기타(비공연장)(23.9%)
- 주요 상연 장르: 대중음악(평균 0.08회), 뮤지컬(평균 0.36회), 연극(평균 1.36회) 등 대부분의 장르에서 공연장 당 평균 상연 횟수가 다른 군집에 비해 현저히 적습니다.
3.3.2 Cluster 1
- 크기: 27개 시설 (가장 작은 군집, 전체의 1.67%)
- 주요 특징:
- 평균 총 좌석 용량(3700석)이 매우 커 대규모 공연 시설이 많습니다.
- 평균 공연장 수(4.59개) 또한 가장 많습니다.
- 장르 다양성 점수(6.19점)가 매우 높아 다양한 장르의 공연이 이루어집니다.
- 접근성 점수(3.07점)와 편의 시설 수(2.07개)가 매우 높습니다.
- 공연장 당 상연 횟수(119.8회)와 공연장 당 공연 건수(81회), 공연장 당 티켓 판매 수(43844.5회)가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 주요 지역: 서울(63.0%), 경기(14.8%)
- 주요 시설 특성: 공공(문예회관)(48.2%), 국립(22.2%)
- 주요 상연 장르: 대중음악 (13회), 무용(12.6회), 뮤지컬(8.7회), 서양음악(클래식)(145회) 등 다양한 장르의 공연이 활발하게 이루어집니다.
3.3.3 Cluster 2
- 크기: 312개 시설 (전체의 19.3%)
- 주요 특징:
- 평균 총 좌석 용량(1493.3석)은 전체 평균보다 많습니다.
- 평균 공연장 수(2.09개)는 전체 평균보다 많습니다.
- 장르 다양성 점수(5.07점)가 높아 다양한 장르의 공연이 이루어집니다.
- 접근성 점수(2.64점)와 편의 시설 수(1.8개)가 전체 평균보다 높습니다.
- 공연장 당 상연횟수(50.3회)와 공연장 당 공연 건수(18.8회), 공연장 당 티켓 판매 수(11352.2회)는 Cluster 1보다는 적지만, Cluster 0과 Cluster 3보다는 많습니다.
- 주요 지역: 서울(20.8%), 경기(18.3%), 경남(7.1%) 등
- 주요 시설 특성: 공공(문예회관)(55.8%), 공공(기타)(21.8%)
- 주요 상연 장르: 대중음악 (5.99회), 뮤지컬(6.63회), 서양음악(클래식)(8.64회) 등 다양한 장르의 공연이 이루어집니다.
3.3.4 Cluster 3
- 크기: 103개 시설 (전체의 6.39%)
- 주요 특징:
- 평균 총 좌석 용량(1346.2석)은 전체 평균보다 많습니다.
- 평균 공연장 수(1.44개)는 전체 평균과 유사합니다.
- 평균 공연 기간(42.05일)이 매우 길어, 장기 공연이 많이 이루어집니다.
- 오픈런 공연 수(1.47회)가 다른 군집에 비해 월등히 많습니다.
- 공연장 당 상연횟수(433.9회)와 공연장당 공연건수(15.9회), 공연장 당 티켓 판매 수(43264.7회)는 Cluster 0과 Cluster 2보다는 많습니다.
- 주요 지역: 서울(77.7%), 경기(5.8%)
- 주요 시설 특성: 민간(대학로)(55.3%), 민간(대학로 외)(35.9%)
- 주요 상연 장르: 뮤지컬(2.56회), 연극(2.38회) 등
4. 군집별 페르소나 및 군집 정의
군집 | 페르소나 이름 | 페르소나 특징 | 군집 정의 |
0 | "동네 사랑방 극장" | 소규모, 지역 주민 중심, 특정 장르(연극) 위주, 낮은 접근성/편의 시설, 지역 사회 연계 노력 | 지역 기반의 소규모 공연 시설로, 특정 장르(연극 등) 중심의 공연을 제공하며, 접근성 및 편의 시설 개선이 필요한 군집 |
1 | "월드 스타 메가 스테이지" | 대규모, 국제적 수준, 다양한 장르, 높은 접근성/편의 시설, 국내외 유명 아티스트 공연 유치, 높은 티켓 판매 수익 | 대규모 시설과 뛰어난 접근성, 다양한 편의 시설을 갖춘 국제적 수준의 공연장으로, 다양한 장르의 대형 공연을 유치하는 군집 |
2 | "우리 지역 문화 허브" | 중간 규모, 지역 문화 중심, 다양한 장르, 비교적 높은 접근성/편의 시설, 지역 예술가 협력, 지역 사회 연계 강화 | 중간 규모의 시설과 비교적 좋은 접근성을 갖춘 지역 문화 예술 중심지로, 다양한 장르의 공연을 제공하며 지역 사회와 긴밀하게 연결된 군집 |
3 | "대학로 스테디셀러 극장" | 서울(대학로) 중심, 민간 운영, 장기/오픈런 공연(뮤지컬, 연극) 전문, 열정적인 팬덤, 안정적인 수익, 창작 작품 발굴 | 서울(특히 대학로)에 집중 분포하며, 장기 공연 및 오픈런 공연(뮤지컬, 연극 등)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민간 공연 시설 군집 |
5. 군집별 발전 제언
5.1. Cluster 0: "지역 소규모 공연장"
- 핵심 전략: 지역 밀착형 운영 및 특화 프로그램 개발
- 지역 주민 참여 확대 (워크숍, 강좌, 할인/초대 이벤트 등)
- 지역 예술가 협력 강화 (공연장 대관 지원, 공동 프로그램 기획 등)
- 접근성 및 편의 시설 개선 (대중교통 연계, 주차 공간, 장애인 편의 시설 등)
- 특화 프로그램 개발 (지역 설화 기반 창작극, 아마추어 극단 육성, 소규모 축제 등)
- 정부/지자체 지원 활용 (운영 지원, 지역 문화예술 지원, 소외계층 문화 향유 지원 등)
5.2. Cluster 1: "글로벌 랜드마크 공연장"
- 핵심 전략: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및 브랜드 가치 제고
- 최첨단 시설 유지 및 관리 (정기 점검, 최신 기술 도입, 친환경 시설 구축 등)
- 글로벌 콘텐츠 유치 및 공동 제작 (해외 유명 공연 초청, 국제 공동 제작, 해외 진출 지원)
- 프리미엄 서비스 제공 (VIP 라운지, 컨시어지 서비스, 고급 식음료 서비스 등)
- 글로벌 마케팅 강화 (해외 홍보 채널, 해외 박람회 참가, 글로벌 스타 마케팅 등)
- 지속가능 경영 도입(ESG경영 도입, 지역사회 공헌 프로그램)
5.3. Cluster 2: "지역 거점 공연장"
- 핵심 전략: 지역 특화 콘텐츠 개발 및 지역 사회 협력 강화
- 지역 특화 콘텐츠 발굴 및 제작 (지역 역사/문화 소재 공연, 지역 예술가 협업, 축제 연계 공연)
- 지역 사회 연계 프로그램 운영 (교육 프로그램, 후원 유치, 문화 강좌, 봉사 단체 협력)
- 다양한 장르 공연 유치 (지역 주민 선호도 조사, 국내외 우수 공연, 신진 예술가 지원)
- 시설 활용도 극대화 (공연 외 공간 활용, 지역 주민 대상 공간 대여, 편의 시설 운영)
- 인근 타 공연시설과의 협력
5.4. Cluster 3: "서울 중심, 장기 공연 전문 공연장"
- 핵심 전략: 창작 역량 강화 및 젊은 관객층 확보
- 창작 뮤지컬/연극 개발 및 투자 (신진 작가/작곡가 육성, 창작 워크숍 지원, 공동 제작/투자)
- 젊은 관객층 유치 전략 (젊은층 선호 소재/장르, 온라인 마케팅, 학생 할인, 굿즈 상품)
- 장기 공연 운영 노하우 축적 및 활용 (데이터 분석, 운영 매뉴얼, 배우/스태프 교육)
- 해외 진출 모색 (해외 라이선스 판매, 해외 공동 제작, 해외 시장 조사)
- 정부/지자체 지원 활용 (공연예술 지원 사업)
6. 결론
본 보고서는 KOPIS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국 공연 시설을 4개의 군집으로 분류하고, 각 군집의 특징과 페르소나를 분석하여 맞춤형 발전 제언을 제시하였습니다. 본 연구 결과가 공연 시설 운영 주체의 전략 수립 및 정부/지자체의 공연예술 정책 수립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1) 군집 분석 : 비슷한 특성을 가진 대상들을 묶어 그룹화하는 분석 방법입니다.
(2) K-Prototypes 알고리즘 : 숫자형 데이터(좌석 수, 판매량 등)와 범주형 데이터(지역, 장르 등)가 섞인 혼합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군집화 알고리즘입니다. K-Means와 K-Modes를 결합한 방식입니다.
작성자 : 박정현 ML 엔지니어
작성일 : 2025년 2월 20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