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티켓으로 공연예술의 혁신을 꿈꾸다: 마스킷의 탄생 이야기 (2)
안녕하세요, 마스킷 대표 배호연입니다. 지난 이야기에서는 LG전자 데이터플랫폼Task의 책임연구원에서 사내벤처 스튜디오341의 인큐베이팅 과정까지, 그리고 마이데이터 사업에서 피벗을 결심하기까지의 여정을 나눴습니다.
오늘은 마스킷이 어떻게 공연예술 시장으로 진출하게 되었고, 모바일 티켓 솔루션을 개발하여 LG전자로부터 성공적으로 분사하게 되었는지, 그 이야기를 들려드리겠습니다.
공연예술 시장으로의 진입: 개인정보의 새로운 가치
여러 산업을 검토하던 중, 저희는 공연예술 산업에 주목하게 되었습니다. 이 결정은 앞서 세운 피벗의 원칙들을 하나하나 충족했습니다.
먼저, 공연예술 시장에서는 종이 티켓을 통해 수집되었다가 사라지는 개인정보가 엄청나게 많습니다. 이 정보들을 효과적으로 수집하고 활용한다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당시 공연 시장의 상황을 살펴보면:
- 티켓박스 운영을 위해 기획사는 운영비를 지불
- 관객들은 예매 수수료를 지불
- 티켓에 인쇄된 개인정보는 한 번 사용되고 버려짐
이런 개인정보를 모두 모으면 CRM, 데이터 마케팅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엄청난 자산이 될 것이라 판단했습니다. 게다가 이 자산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가치 있게 축적될 수 있었죠.
예술에서 IT로, 다시 예술로
사실 저에게는 공연예술 시장에 접근할 수 있는 특별한 배경이 있었습니다. 제 학부 전공은 음악이었고, 오페라 가수가 되기 위해 독일 유학을 준비했으며, 실제로 Freiburg 음악대학 오페라과 합격증까지 받은 이력이 있었습니다.
이런 배경 덕분에 저는 공연예술 시장을 '심사역보다 더 잘 아는' 영역으로 접근할 수 있었고, 주변에는 끊임없이 공연을 제작하고 무대에 서는 동료, 선후배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이는 '대표의 영업력이 작동할 수 있는' 중요한 기반이 되었죠.
또한 티켓 솔루션 시장은 스타트업부터 인터파크, 티켓링크 같은 대기업, 그리고 미국의 Ticketmaster와 같은 글로벌 기업까지 존재하는 '규모의 경제를 만들어낼 수 있는' 영역이었습니다. 동시에 스타트업이 혁신을 일으킬 수 있는 여지도 충분했죠.
이렇게 저희가 세운 피벗의 모든 원칙을 충족하는 방향을 찾았고, 공연예술 시장으로의 진출을 결정했습니다.
빠른 실행력: MVP 개발부터 분사까지
2023년 1월 하순, 문화예술 시장으로 방향을 전환한 뒤 곧바로 시스템 설계에 들어갔습니다. 1월 말에는 지금의 CTO를 만났고, 2월 설 연휴 동안 MVP(Minimum Viable Product, 최소 기능 제품) 개발을 완료했습니다.
2월 중순부터는 실제 공연장에서 PoC(Proof of Concept, 개념 증명)를 시작했습니다. 정말 빠른 속도였죠. 공연 비수기인 연초임에도 불구하고, 제 주변의 네트워크 덕분에 여러 공연에서 모바일 티켓을 테스트할 수 있었습니다.
네 번의 공연을 통해 모은 데이터와 경험을 바탕으로 IR(Investor Relations, 투자자 관계)을 진행했고, 마침내 2023년 3월 말, LG전자로부터의 분사가 최종 결정되었습니다.
이렇게 마스킷은 LG전자의 사내벤처에서 출발해, 여러 번의 피벗과 빠른 실행력을 통해 공연예술 시장의 모바일 티켓 솔루션 기업으로 새롭게 태어나게 되었습니다.
마스킷(MASKIT)의 의미: 마이데이터의 DNA
"마스킷"이라는 회사 이름에도 특별한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이 이름은 "마이데이터 스타터킷(My-data Starter Kit)"에서 따온 것인데요, 사업의 시작점을 문화예술시장의 티켓 솔루션에 두었을 뿐, 마스킷은 여전히 마이데이터와 개인정보 보호, 보안과 같은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우리가 개발한 모바일 티켓 솔루션은 단순히 종이 티켓을 디지털화하는 데 그치지 않습니다. 개인정보 보호와 효율적인 데이터 활용이라는 가치를 담아, 공연예술 산업에 새로운 혁신을 가져오고자 하는 마스킷의 철학이 담겨 있습니다.
그리고 1년 후...
LG전자 사내벤처에서 시작해 공연예술 시장의 혁신 기업으로 거듭난 마스킷. 분사 후 1년이 지난 지금, 우리는 어떻게 성장했을까요?
현재 마스킷은 다양한 공연장과 기획사들과 협업하며 모바일 티켓 솔루션을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종이 티켓이 사라지면서 발생하는 환경적 이점부터, 관객들의 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마케팅, 그리고 티켓 사기를 방지하는 암표 방지 보안 기능까지, 공연예술 시장에 다양한 가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최신 소식과 서비스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시다면, 마스킷 홈페이지를 방문해 주세요. 공연예술의 디지털 혁신을 이끌어 가는 마스킷의 여정은 계속됩니다.
마이데이터에서 시작해 공연예술의 디지털 혁신으로 이어진 마스킷의 이야기, 어떠셨나요? 스타트업의 도전과 변화, 그리고 성장에 관한 여러분의 생각이나 질문을 이메일(hoyeon.bae@maskit.co.kr)로 남겨주세요. 다음 블로그에서는 마스킷의 모바일 티켓 솔루션이 어떻게 공연 기획사와 관객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있는지, 더 자세한 이야기를 들려드리겠습니다.
작성자 : 배호연 대표
작성일 : 2025년 5월 3일
